왜 공복에 운동을 하면 살이 빠질까?
공복에 운동을 하는 것은 신체의 대사율을 높이고 지방 연소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식사 후에 운동을 하게 되면 혈당 농도가 높아지거나 음식 소화 과정에서 에너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지방 연소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공복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혈당 농도가 낮아지고 체내의 글리코겐(탄수화물 저장물질) 소비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지방이 빠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아침에 공복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신체가 지방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어서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운동 전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건강 상태에 맞는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니까 밥을 먹고 운동을 하면 몸에서 밥을 소화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해서 지방을 태울 수가 없다는 거고, 공복에 운동을 하면 지방을 끌어다가 에너지원으로 쓰기 때문에 살이 잘 빠진다는 원리이다.
요즘 살이 너무 안 빠져서 공복에 운동을 해보려고 찾아봤다. 겨울이라고 긴장놓지 말고 열심히 해보자!
'건강 말해뭐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목 건강 | 가래가 생기는 원인, 증상, 예방과 치료 방법 (0) | 2023.10.17 |
---|---|
정신과 약에 대한 단상| 내가 느끼는 우울증 | 단약은 꼭 해야하나? (0) | 2023.10.14 |
손가락 마디가 시큰거리고 아플때 |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증상,치료 (0) | 2023.09.28 |
폐정맥 혈전증 그리고 부정맥|원인,증상,치료방법 그 외 등등. (0) | 2023.09.27 |
중뇌대동맥은?|뇌경색,뇌출혈,뇌졸중에 대해서 | 원인,증상,치료방법 (0) | 2023.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