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정맥 혈전증과 부정맥
폐정맥 혈전증이란 폐정맥(폐에 산소를 공급하는 정맥)내에서 혈액 응고가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혈전은 폐정맥의 혈액 흐름을 막아 호흡 및 혈액 순환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F8iAs/btsvHdCzZva/oYFqVkCkwJQJvDXccR7Sf1/img.png)
- 원인: 폐정맥 혈전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따. 가증 흔한 원인 중 하나는 긴 시간 동안 앉아 있거나 누워있는 경우인 정맥 혈전증이다. 다른 원인으로는 기형적인 혈관 구조, 항응고증, 항암치료, 장기이식, 출산 후 등이 있다.
- 증상: 폐정맥 혈전의 증상은 다리 부종, 통증, 붓기, 발열, 가슴,통증, 호흡 곤란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혈액 순환에 큰 문제를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진단: 의사는 증상과 의료검사를 통해 폐정맥 혈전을 진단한다. 주로 CT스캔이나 초음파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다.
- 치료: 폐정맥 혈전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항응고제(혈전을 녹이는 약) 및 기타 혈전 관련 치료가 사용된다.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하기도 하다.
폐정맥 혈전은 주로 폐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
- 폐색증: 폐정맥 혈전이 폐 동맥을 막는 경우, 폐 부분의 혈액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는 호흡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 폐색 동맥 혈전색전증: 폐정맥 혈전이 크고 중요한 폐동맥으로 이동하면 폐색 동맥 혈전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호흡 곤란, 가슴 통증, 혹은 심장 마비와 같이 심각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긴급한 의료 치료가 필요하다.
부정맥은 혈전이 형성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정맥에서 심장의 상방 부분인 심방에서 혈액이 원활하게 펌프 되지 않을 때 혈액 응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혈류 정상화의 어려움: 부정맥으로 인해 심방의 정상적인 수축과 이완이 어려워지면, 혈액이 정상적으로 순환하지 못하고 느린 흐름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혈액이 정체도거나 응고할 수 있다.
- 심방 내 혈류 방해: 부정맥으로 인해 심방의 부분에서 혈류가 느리게 움직이거나 정지할 수 있으며 이는 혈액 응고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 심방 이완 부족: 부정맥으로 인해 심방의 이완이 충분하지 않으면 혈액이 심방에서 완전히 배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혈액 응고가 발생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CCJiw/btsvMMZaqku/VTXZ381mLKyNbJS8DpOgoK/img.png)
폐정맥 혈전증이 뇌경색으로 직접적으로 연결 되는 것은 드물지만 뇌경색과 혈전증 사이에는 공통적인 위험 인자가 있을 수 있다.
- 혈전이동: 폐정맥 혈전은 일반적으로 폐 부분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폐 부분에서 응고된 혈전이 혈액 순환을 통해 다른 부위로 이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혈전이 다른 장기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 뇌경색과 혈전: 뇌경색은 뇌혈관 내에서 혈액 흐름이 차단되거나 혈관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이다. 주로 뇌동맥 내에서 혈전 형성이나 혈전이 이동하여 뇌혈관을 막는다.
- 공통적인 위험인자: 폐정맥 혈전증과 뇌경색은 일부 공통적인 위험 인자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전 형성을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는 혈액 응고가 쉽게 생기는 상태(항응고제 부족) 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두 가지 상황에서 모두 문제가 될 수 있다.
폐정맥 혈전증의 치료 방법은 혈전을 제거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치료 방법이 사용된다.
- 항응고제(약물치료): 가장 흔한 치료법 중 하나는 항응고제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약물은 새로운 혈전 형성을 방지하고 기존 혈전을 녹이는데 도움을 준다. 워파린(warfarin),헤파린(heparin),엑사파린(enoxaparin)과 같은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 경구 항응고제: 몇 주 이상 항응고제를 주사받은 후, 일부 환자는 경구 항응고제(혈전예방제)로 전환된다. 이러한 약물은 혈전 재발을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
- 압박치료: 부종을 줄이고 혈전을 방지하기 위해 압박 스타킹이나 다리 속을 압박하는 장치를 착용하여 다리 부분의 혈액 흐름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 말해뭐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복에 운동을 하면 왜 살이 빠질까? (0) | 2023.10.09 |
---|---|
손가락 마디가 시큰거리고 아플때 |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증상,치료 (0) | 2023.09.28 |
중뇌대동맥은?|뇌경색,뇌출혈,뇌졸중에 대해서 | 원인,증상,치료방법 (0) | 2023.09.26 |
다시 심해진 천식 기침발작| 벤토린 처방 받다. (0) | 2023.09.22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성인 ADHD의 주요 증상, 치료 방법 (0)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