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는 대화의 방식이다 | 프롬프트를 둘러싼 오해 쉽게 정리 | 챗지피티 Chatgpt 쉽게 사용하는 방법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롬프트는 대화의 방식이다 | 프롬프트를 둘러싼 오해 쉽게 정리 | 챗지피티 Chatgpt 쉽게 사용하는 방법

아마존 kdp&디지털부업 기록

by heyuable 2025. 5. 9. 03:18

본문

챗지피티 Chatgpt는

왜 프롬프트가 필요할까?

 

요즘 AI랑 좀 논다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이 유행이다. 어떤 사람은 프롬프트를 체계적으로 써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그냥 친구처럼 편하게 말해도 된다고 한다.

 

나 역시도 챗지피티를 애용하고 있는 유저로서 진짜 궁금해진다. 도대체 프롬프트라는게 정말 필요한걸까?

 

 

 

 

 

Prompt 프롬프트의 정확한 의미

Prompt의 영어적 의미는 '자극다' ' 촉구하다' 같이 무엇을 하도록 유도하는 말이나 행동이라는 뜻이 있다. 하지만 AI 세계에서는 조금 더 특별한 의미로 사용된다.

 

AI 기준 프롬프트의 뜻

프롬프트란 AI에게 어떤 작업을 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명령어나 요청 문장을 말한다. 쉽게 말해 'ai야 이거 해줘'라고 말하는 그 문장 전체를 프롬프트라고 한다.

 

'프롬프트는 명령어가 아니다. 정확한 목표를 주는 것.

챗지피티는 기본적으로 '사람처럼 대화'를 하도록 설계된 인공지능으로 실제로는 문장을 이해하고 목적을 파악해서 최적의 답을 만드는 기계이다.

 

프롬프트는 복잡한 공식이 아니라, 내가 지금 원하는 것에 대해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 이력서 좀 쓰게 도와줘.. 라고 하기 보다는
  • IT 신입 이력서 작성, 성격은 꼼꼼한 강조, 자기 소개는 300자 이내..

이렇게 챗지피티한테 디테일하게 지시를 해야 원하는 방향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왜 '이거 좀 해줘' 라고 자연스럽게 말하면 안되는건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은 하다. 다만 확률의 문제를 생각해봐야 한다. 챗지피티가 사람의 언어는 잘 이해하지만, 동시에 불확실한 질문에도 신중하게 반응하도록 훈련이 되어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챗지피티는 애매한 요청이 들어왔을때에는 함부로 단정하지 않는다는 안전 설계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말하는 프롬프트를 잘 쓴다는 것은 복잡한 문장을 공식처럼 외우라는 것이 아니라, 혼란없이 정확한 조건을 주면 더 좋은 조건을 얻는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그걸 또 괜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프로들만 쓰는 거 같은 단어로 포장해서 어느새 전문가들만 할 수 있는 영역처럼 말하는 사람들도 생겼다.

 

바람직한 사용법은?

프롬프트는 외워서 쓰는게 아니라 가장 바람직한 사용법은 이렇다.

 

 

 

 

 

  • 상황: 보고서 작성 해야해
  • 목표: 20대 소비자 대상의 트렌드 조사 보고서
  • 조건: 문장은 간결하게, 팩트 체크 필수, 표료 요약도 포함시켜. 

혹은 이런 식으로도 가능하다

 

  • 상황: 대학 발표 자료를 만들고 있어
  • 목표: 친환경 소비 주제, 발표용으로 5분 분량
  • 조건: 내용은 가볍고, 이해가 잘 되게, 예시 포함해서 정리해. 

포인트는 친근한 말투이냐 , 기계적인 프롬프트이냐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게 뭔지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꼭 전문가처럼 프롬프트를 짜야 한다는 부담은 가질 필요가 없다 중요한 건 내가 원하는 점을 제대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거고, 그걸 자연스럽게 말하든, 정리해서 쓰든, 나한테 맞는 방식으로 쓰면 된다.

 

챗지피티는 정말 쓰면 쓸수록 똑똑하게 잘 알아듣는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